서울에 취직이 결정되어 집을 떠나게 되었을 때, 기뻐하는 내 곁에서 어머니는 ‘왜 굳이 서울이냐’는 말만을 반복하셨다. 취업난이 얼마나 심각한데. 엄마가 뭘 몰라서 그렇다며 짜증을 내는 통에, 어머니와 나의 이별은 그리 아름다운 모양새가 아니었다.
이삿짐을 싸고 있는 내게 어머니가 책 한 권을 건네셨다. 귀퉁이가 다 닳고 너덜너덜해진 책. 우리 집처럼, 낡고 또 낡았다.
“이런 건 또 왜요. 가져가 봐야 읽지도 않을 텐데.”
“너 어렸을 때 읽었던 책인데 기억 안 나니? 어젯밤에 읽어봤는데 재미있더라. 일하다 지치면 한 번씩 들여다 봐.”
나는 그 책을 꼬박 오 년이 지난 오늘에야 다시 발견했다. 오 년 동안 쉼 없이 일한 결과, 직급도 연봉도 높아졌다. 직장에서 사십 분이 걸리는 대학가의 자취방에서 시작해서, 이제는 지하철로 다섯 정거장 떨어진 원룸 촌에 자리를 잡았다. 집에 가 본 게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았다. 어머니에게 자주 전화를 드리지도 않았다. 먼 지방의 지역 번호를 누르는 것이 싫었다. 이유는 그 뿐이었다.
그런데 왜일까, 나는 행복이라는 것을 좀처럼 느낄 수가 없었다. 아침 일곱 시 반에 일어나 회사에 가서, 하루 종일 엇비슷한 서류들 사이에서 머리를 싸맸다. 나를 괴롭히는 상사도 없었고, 딱히 사이가 나쁘다 할 만한 동료들도 없었으며, 매일 점심을 같이 먹을 정도로 친한 사람도 없었다. 나는 바쁘게 사는 것이 좋았다. 얼굴을 본 지도 몇 년이 지난 친구들을 굳이 불러내어 맥주를 한 잔 하는 것이 귀찮았다. 통장에 쌓여가는 잔고들을 확인하며, 미래를 꿈꾸는 것이 좋았다.
헌데 그 미래라는 것이 참 묘했다. 안정된 직장을 가진 좋은 사람을 만나, 아이들을 낳고 싶었다. 그러는 중에는 내 집을 가지기 위해 일을 할 것이다. 아침에는 조금 더 일찍 일어나 가족들의 식사를 준비하고, 저녁에는 가계부를 정리할 것이다.
하루의 끝, 자진해서 야근을 하고 돌아오면 빈 부엌에서 무엇을 먹어야 하나 한참을 고민했다. 뜨거운 물로 삼십 분도 넘게 샤워를 했다. 고단함이라는 것이 쉽게 씻겨 나가지 않았다. 문득, 어머니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머니를 엄마라고 불러 본 지도 십 년이 넘었다.
어머니는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가 집을 나가신 이후로 혼자 나를 키워 오셨다. 집안 살림이 넉넉한 때는 좀처럼 찾아오지 않았고, 어머니는 나날이 말라가셨다. 하지만 집에 웃음이 끊겼던 기억도 없다. 낡고 초라한 반지하의 빌라였지만, 어머니는 매일 내가 좋아하는 반찬 한 가지씩을 상에 올려 주셨다. 먼 곳에 가지는 못했지만, 저녁이면 어머니의 손을 잡고 산책을 나섰다. 길거리의 이름 모를 꽃들을 들여다보며 함께 웃었다. 컴퓨터를 사 주지는 못하셨지만, 헌 책방에서 한 달에 한두 권씩은 꼭 책을 사다 주셨다.
점심 즈음에 어머니에게서 전화가 왔다. 어머니와 내가 함께 살던 반지하의 빌라가 헐린다고 했다. 나는 ‘받은 돈으로 새 집을 구하면 되지. 혼자 살기에는 어차피 크잖아.’라고 대꾸하고 전화를 끊었었다. 그런데 그 낡은 책을 보자 문득, 그 구질구질한 집에서의 웃음소리가 그리워 진 것이었다. 나는 나도 모르게 첫 장을 펼쳤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이라는 투박한 제목을 가진 그 책은, 어머니가 사다 주셨던 책 중의 한 권이었다. 땅보다 갯벌이 더 많은 바닷가였던 괭이부리말에는 고양이 섬이라는 이름을 가진 작은 섬이 있었다고 한다. 갯벌도, 고양이섬도 바다가 메워지며 흔적을 감췄고, ‘괭이부리말’이라는 이름만이 그 자리에 남았다고 한다.
책을 넘기며 나는 혼자 눈물을 훔쳤다. 책 속의 명희는 괭이부리말에서의 기억을 모두 잊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시는 가난하게 살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그랬던 명희가 10층짜리 아파트를 떠나 여전히 가난한 동네인 괭이부리말로 다시 돌아갔다. 그리고 다시는 높이 올라가기 위해 발버둥을 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그런데도 명희는 지금 행복했다. 다 낡아빠진 숙자네 집 문 앞에 선 지금이 엘리베이터 자동문 앞에 섰을 때보다 더 행복하다고 느꼈다. 명희는 이제서야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알 것 같았다.”
책의 한 구절을 소리 내어 읽으며, 나는 수화기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