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반도로 떠나는 마음여행, 개암사 템플스테이
“나라면 개암사에 살고 싶다. 적막함이 무척 마음에 든다. 그곳에서라면 나는 누구의 것도 아닌 원래의 내가 될 수 있고 나만의 속도로 인생을 살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그의 대표 저서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개암사를 두고 이렇게 적었다. 흔히 ‘변산반도가 품은 절’ 하면 으레 내소사를 떠올리게 마련이지만, 변산에는 개암사라는 또 하나의 아름다운 절이 안겨 있다. 봄철이면 꽃비가 내리는 벚꽃터널로, 가을이면 붉게 물든 단풍나무 길로 유명한 개암사는 사계절 아름다운 풍광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능가산이 품은 천년고찰
개암사는 백제 때 지어진 천년고찰로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자리하고 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개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말사로서, 634년 백제의 묘련이 창건한 고찰이다. ‘개암’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뒤따른다. 기원전 282년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난을 피해 이곳에 도성을 쌓을 때, 우(禹)와 진(陳)이라는 두 장사로 하여금 좌우 계곡에 왕궁전각을 짓게 했다. 이때 동쪽의 전각에 묘암(妙巖), 서쪽의 전각에는 개암(開巖)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절의 이름과 관련한 또 다른 유래는 뒷산에 자리한 ‘우금바위’에서 전해 내려온다. 우금바위에는 천연석굴이 있는데, 그 바위 모습이 멀리서 보면 둘로 나뉘어 있는 것처럼 보여 ‘바위가 열린 상태’라는 뜻으로 ‘개암’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다.
1
2
1
개암사 대웅보전은 조선 중기에 중건된 건물로 보물 제292호로 지정돼 있다.2
개암사 응진전에는 조선시대 때 만들어진 16구의 나한상(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79호)이 늘어서 있다.개암사는 통일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이르러, 당시 우금바위에 머물며 수행을 하던 원효대사와 의상대사에 의해 한 차례 중창된다. 이후 고려 충숙왕 원년(1313년)에 원감국사가 다시 한 번 중창하면서, 건물이 30여 동으로 늘어나 대가람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개암사를 품고 있는 ‘능가산’이라는 명칭은 이때 원감국사가 <능가경>을 강의하며 사람들을 교화했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이처럼 한때 대찰로서 위용을 떨쳤던 개암사지만, 대부분 건물이 임진왜란 때 불타, 지금은 대웅보전과 응진전, 요사채, 월성대 정도만 남아 있다.
마음에 쉼표가 필요할 때
개암사의 템플스테이는 원효대사의 화쟁사상(和諍思想)을 기반에 두고 있다. 화쟁사상은 모든 논쟁을 화합으로 바꾸려는 불교의 사상이다. 과거 통일신라시대 때 신라인이었던 원효대사는 백제 멸망으로 나라를 잃고 큰 상처를 받은 백제 유민들의 마음을 달래고 위로해주었다고 전해진다. 지금 우리시대에도 상처를 받고 위로가 필요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 개암사에서는 이러한 원효대사의 뜻을 이어, 절을 찾는 이들에게 휴식과 치유의 시간을 선물해주고 있다.
1
2
1
2
개암사 템플스테이를 찾은 외국인 체험객들이 녹차밭 체험을 하고 있다.개암사 템플스테이는 현대인에게 진정한 쉼이 무엇인가를 일깨워준다. 우금암 트레킹과 마음 나누기, 소금 만다라 및 염주 만들기, 명상 등 소통과 나눔, 휴식과 치유가 있는 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 한편, 개암사 템플스테이에는 ‘차(茶)만들기’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일주문에서 숲을 따라 100여 미터 걷다 보면, 오른편으로 드넓게 녹차밭이 펼쳐진다. 이 녹차밭은 개암사 뒤편까지 이어져 있는데, 템플스테이의 일환으로 녹차밭 포행, 차잎 따기, 전차 만들기 등을 진행한다. 그런가 하면, ‘산사유거(山寺幽居)’라는 이름의 휴식형 템플스테이도 상시 운영 중이다. 휴가철에는 가족 단위의 관광객이 참여할 수 있는 특별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참여 대상에는 제한이 없지만, 일단 템플스테이에 참여하면 산사의 문화와 예법을 따르게 되어 있다.
숨 가쁘게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누구나 잠시 쉬어가고 싶을 때가 있다. 개암사는 휴식이 필요한 이들에게 담담히 ‘쉼표’를 건넨다. 우리가 사는 도시의 풍경은 하루가 멀다고 다르게 변하고 있지만, 오랫동안 제 자리를 지켜온 개암사의 풍경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여전히 적막하고 사방은 고요하다. 소박한 전각들, 커다란 석축계단 너머로 든든하게 서 있는 대웅보전, 산과 절을 지탱하고 있는 우금바위가 묵묵히 산사를 찾은 사람들의 마음을 보듬는다. 마음의 쉼표가 필요한 날, 개암사에서 잠시 쉬어가 보자.
5월에 개암사 템플스테이를 하면, 푸른 녹차 잎을 직접 따고 차로 마실 수 있는 ‘녹차 만들기 체험’을 할 수 있답니다.
글 트래블투데이 편집국
발행2016년 05월 06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