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빛으로 가을을 물들이다
- 경상북도 청도군 -
가을이 깊어갈 무렵이면 감의 고장 경북 청도는 온통 주홍빛으로 넘실댑니다. 마을은 물론 들과 산, 심지어 도로변까지 감빛으로 도배됩니다. 전체의 절반이 넘는 농가가 감농사를 짓기 때문일까요? 물론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감물이 들어 아끼던 옷을 버려야 했던 어린 시절을 떠올려보면 감은 훌륭한 염색 소재이기도 하다는 걸 이곳에서 깨닫습니다. 청도에는 감염색 공방 10여 개가 밀집해 이맘때 감물로 천을 염색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트래블아이>의 미션입니다. ‘청도 천연염색공방에서 가을을 주홍빛으로 물들여라!’
청도지역이 주홍색 물결을 이루는 깊은 가을날, 화양읍 유등리 꼭두서니 감물염색전시장 어디에서나 감물로 천연염색을 한 천 말리기 작업을 쉽게 볼 수 있다.
“저기를 좀 봐. 감물로 염색한 천을 햇볕에 말리고 계셔.” “마당 한가득 저렇게 감물 밴 광목이 빨랫줄에서 펄럭이는 장면은 청도의 또 다른 가을풍경이 아닐까?”
“맞아. 그런데 이곳은 또 달라. 저분처럼 소금물 뿌려주는 과정을 거듭하는 이유는 뭘까?”
청도군 전역에 천연염색 공방들이 즐비하다. 홍시가 무르익을 무렵 이곳 꼭두서니 감물염색전시장에 가면 감물들이기도 체험이 가능하다고.
“감물 입히는 횟수, 물을 뿌려주는 빈도에 따라 스무 가지도 넘는 색깔이 나옵니더.” “아~ 그렇군요!”
“청도에서는 우리 천연염색 공방이 원조라예. 우리 대표가 원래 다른 사업하다가 요 근방에서 천연염색 시작한 게 벌써 십 수 년도 더 됐쟤 아마.”
천연염색으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꼭두서니 공방 주변으로 소소하게 놓인 하나하나가 눈을 뗄 수 없게 한다.
“건조장 옆 쪽밭까지…. 이 부지가 다 체험장으로 쓰이나 봐요?” “맞심더! 10여 년 전만 해도 천연염색은 초창기라 꼭두서니가 대표적인 체험장으로 부상했지예.”
“전시실에서 내다보면 마치 별장과 같은 아늑한 모습을 하고 있네요!”
주민들의 구수한 모습은 체험장을 찾는 손님들을 편안하게 한다. 이중 느티나무 공방은 옻염색을 전문으로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른데?
“안내하시는 분 말씀대로, 옻염색 과정에서 제직과 화공 등 섬유 계통에 30년이나 종사한 경력자들로부터 기술을 정말 배울 수가 있을까요? 상당히 고급기술일 텐데.”
“아니라예. 천연염색 기술을 함께 나누고 저변확대를 위해 천연염색 체험학습의 기회의 문을 이렇게 활짝 열어두고 있는 것도 우리 장점 아인교.”
실내 어디든 들어서면 벽장과 탁자에 진열된 완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같은 재료는 다 어디에서 얻어지는 것일까?
“염색천으로 생활한복, 침구류, 커튼, 방석, 가방, 모자, 슬리퍼 버선, 토시, 식탁보, 속옷류, 카펫, 신발 등 못 만들 것이 없네요. 다 감물로만 이런 색이 나온 건가요?”
“감물뿐이 아니지예. 쪽과 치자, 애기똥풀, 꼭두서니, 자단목, 석류, 황토, 복숭아 가지, 쑥, 쇠뜨기, 밤 껍질 등 색감 내는 자연의 모든 것이 귀중한 재료라 안 합니꺼.”
이곳뿐 아니라 대구 종로에서도 꼭두서니 전문판매점을 만날 수 있다 하지만 내 손으로 만든 염색천으로 가방이나 방석 등 아기자기한 용품이 탄생할 땐 의미가 더욱 남다르다.
“짜잔~ 내 손에서 탄생한 식탁보! 정말 화려하면서도 고풍스럽기까지 해요! 하지만 옆에서 다 도와주셔서 제가 만들었다고 말하기가 좀 멋쩍네요.”
“한 주에 한 번씩 개인교습도 하니까, 집 가까우면 들르고 해. 우리 체험 프로그램은 생쪽체험 7~9월, 쑥염색 6~8월, 감염색 5~12월에 가능하니 참고 하시고.”
감빛고을에서는 1200여 평의 넓은 공간에서 천연염색 체험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특히 실에 염색을 하는 ‘사염’은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라는데?
“사염? 그게 뭐죠?” “말 그대로, 실에 염색하는 기라예. 단순해보여도 천연염색 단점은 극복하고 더 다양한 색상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데 이만한 게 없지예. 아, 결국 특허까지 획득했다 아입니꺼.”
“방법을 터득하려 2년 넘게 실험을 거쳤다는 게 바로 이거로군요!”
청도에는 다양한 감 관련 체험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그 중 감 따기는 단연 인기. 끝 부분에 가위가 달린 장비도 있지만 잠자리채 모양의 정겨운 옛 도구를 직접 활용해보자.
“이 반시를 봐. 청도에서만 볼 수 있지. 달콤하면서도 질리지 않는 이 맛. 먹을 게 지천에 널린 요즘도 가을이 되면 그 옛날 할머니 체취가 묻어나는 홍시가 그립더라.”
“또 돌아가신 할머니를 떠올리는구나. 하긴, 시골집에 가면 ”내 새끼들~“ 하시며 서리가 내린 뒤 딴 홍시를 대광주리에 그득 담아서 내어주셨지.”
추억의 계절 가을이면 감에 담긴 추억을 반추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렇습니다. 감은 풍요의 상징입니다. 주먹만 한 감이 가지가 부러질 듯 주렁주렁 열리면 저마다 오래된 옛 기억을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쟁반처럼 납작하게 생긴 청도의 홍시가 반시(盤枾)로 불리듯, 청도에 가면 감에 대한 특별한 추억을 다시금 쌓고 올 수 있습니다. 이중 감물염색은 이 지역에서만 보고 또 체험할 수 있어 즐거움은 더욱 배가됩니다. 감 수확철 `청도반시축제`가 열리는 시점에 맞춰 꼭두서니로 색다른 추억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떠세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