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에 오르고, 바위를 보고, 바위를 걷다
- 경상남도 거제시 -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명물은 말 할 것도 없이 ‘해금강’을 꼽을 수 있습니다. 명승 제 2호로 지정되어있는 해금강은, 거제도 남동쪽에 튀어나온 갈곶에서 떨어져 나온 한 덩어리의 돌섬을 말합니다. 날이 흐리거나 파도가 센 날을 가까이에서 구경하기가 힘든 만큼, 트래블아이도 맑은 날을 손꼽아 기다리게 되는 관광명소랍니다. 텅 빈 바위뿐일 것 같지만, 그 속에 숨겨진 보석들이 가득한 해금강! 오늘의 <트래블아이>미션은 ‘바위로 시작해 바위로 끝나는 테마여행 즐기기!’입니다.
바다위의 바위섬 갈도. 칡으로 가득 덥힌 바위섬은 그렇게 불리었다. 하지만 흩어진 바위들의 모습이 각각 다르고 아름답다하여 다른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는데…
“해금강은 금강산의 해금강을 생각했는데, 이곳에도 해금강이 있었네. 왜 같은 이름을 가지게 되었을까?”
“저 바위들이 모습이 웅장하기도하고, 아름답기도 하고. 그런 모습이 꼭 금강산을 닮은 것 같지 않아? 그래서 이곳은 ‘제 2의 금강산’ 이라고 부른데.”
옛날 진나라 시황제의 서불에게 이곳에서 불로초를 찾아오라 명한다. 하지만 이곳에 온 서불은 해금강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해 돌아가지 못했다는 전설도 내려온다.
"서불과차(徐市過次)? 아, 이게 바로 불로초를 찾기 위해 이곳에 왔던 서불이 남긴 글이구나? 그런데 이게 왜 이렇게 쓰여있지?"
"예전에 해풍에 그 바위가 유실되었다고 전해져. 해금강을 제외하고도 일본 지역에까지 이르는 그의 이동경로에 쓰여있다고 하니, 조금 아쉽기는 해."
해금강의 정상, 우제봉으로 오르는 길. 계단과 산길을 오르며 얼핏 보이는 해금강의 전경이 아른거린다. 전망대에 오르기를 응원하는 듯한 바닷바람이다.
"이렇게 전망대가 잘 되어 있을지는 상상도 못했어! 바위 산 위에 올라서 다른 바위들을 내려다보니, 꼭 하늘 위에 올라 선 기분이야,"
"옆에 보이는 이 바위산이 우제봉의 꼭대기이긴 하지만, 전망대에서도 해금강의 전경이 전부 다 내다보여! 게다가 이렇게 오를 수 있게 된지도 몇 년 되지 않았다니 더 좋아!"
바위에 부딪힐 것만 같은 조마조마한 마음이 든다. 바다 속에서 네 개로 갈라져 물이 흐른다는 십자동굴 속으로 들어가 볼까?
“이렇게 좁은 바위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니! 게다가 하늘을 봐! 하늘이 십자모양으로 갈라져있어!"
"하하, 그런데 통과하지 못하고 좁아서 배가 후진을 하다니 너무 재미있는 것 같아. 그나마도 날씨가 좋지 않은 날은 들어갈 수 없다고 해."
사자바위의 황홀한 일출을 보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큰 바위섬과 사자바위 사이로 선명하게 떠오르는 붉은 태양은 바닷물마저 붉게 물들인다.
"저기에 보이는 것이 사자바위야. 꼭 바다 속에서 머리를 내밀고 사자가 포효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니? 저 위에 선 소나무를 향해 소리치는 것 같다."
"맞아, 저 바위 뒤로 일출이 떠오를 때면, 갑자기 사자가 바닷속에서 뛰쳐나와 태양을 삼켜버릴 것 같은 기분이 든다고 해."
생명이 살아가기에는 너무도 척박해 보이는 기암절벽. 하지만 사이사이 얼굴을 내민 생명력은 여전히 해금강을 둘러싸고 있다.
"아까 사자바위가 올려다보고 있었던 소나무 기억해? 저 소나무는 바위 사이에서 정말 고고하게 자라난 것 같아."
"응, 저 소나무는 천년송이라고 해. 괴석 위에 서있는 저 소나무는, 천년동안 해금강을 지켜온 수호송으로 불려."
해상관광을 통해 해금강의 경치를 둘러보면, 수많은 기암괴석들을 만날 수 있다. 촛대바위, 병풍바위, 돛대바위… 저 수많은 바위들의 이름은 누가 다 붙였을까?
"저기 저 멀리 보이는 바위 두 개 보여? 꼭 신랑신부가 마주서서 전통결혼식을 올리는 것 같다고 해서 신랑신부바위라고 부른데."
"정말 생긴 모습을 그대로 따 지은 이름들이라 그런지, 아주 오래된 이름일텐데도 아주 잘 어울려. 이렇게 많은 바위들마다 이름이 있다니, 사전이라도 만들어야 하겠는 걸?"
어느새 해안가로 올라왔다. 멀리 보이는 바위들을 뒤로하고 한걸음 내딛자 ‘자그락’하는 소리와 함께 예쁜 자갈이 밟힌다. 이게 무엇일까?
"와, 돌이 정말 예쁘다. 그런데 저 멀리 보이는 멋진 바위들을 실컷 구경하고 왔더니, 이젠 이 돌에도 이름이 있을 것 같아."
"하하, 맞아. 이곳은 함목해수욕장인데, 이 돌의 이름을 따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해. 자그락자그락, 바닥물이 이 돌과 만나면서 나는 소리가 참 아름다워"
바위 위에도, 또 바위 아래에도, 심지어 바위들의 사이에도 저마다 보물 같은 경치와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수많은 바위들에게 붙여진 이름을 맞추어 보는 것도 재미있는 경험이 되지 않을까요? 바다에 외롭게 떠 있는 바위섬이, 이름이 하나하나 붙어가고, 또 그것들의 아름다움을 아는 사람들이 찾아주어 이제는 외롭지 않은 섬이 되어있답니다. 여러분도 해금강에서 바위들에게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며 관광을 해 보세요! 그러면 어느새 바위가 여러분의 친구처럼 말을 걸어올지도 모릅니다.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